1740년 바타비아 대학살

1740년 바타비아 대학살(네덜란드어: Chinezenmoord, lit.  'Murder of the Chinese', 인도네시아어: Geger Pacinan, lit.  'Chinatown turult'), 앙케학살(紅溪慘案)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유럽 군인들이 중국 민족 주민들을 살해한 학살이자 포그롬이다. 네덜란드 동인도 제도의 항구 도시 바타비아(현재의 자카르타)에서 발생했다. 이 도시에서의 폭력은 1740년 10월 9일부터 10월 22일까지 지속되었으며 성벽 밖에서는 그해 11월 말까지 소규모 전투가 계속되었다. 역사가들은 최소 10,000명의 중국인이 학살된 것으로 추정한다. 단지 600~3,000명만이 살아남은 것으로 추정된다.

1740년 9월, 정부의 탄압과 설탕 가격 하락으로 인해 중국 인구 사이에 불안이 고조되자 총독 아드리안 발케니어(Adriaan Valckenier)는 모든 반란은 치명적인 무력에 직면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10월 7일, 수백 명의 중국인(대다수는 제당소 노동자)이 네덜란드 군인 50명을 살해했고, 이로 인해 네덜란드군은 중국인에게서 모든 무기를 압수하고 중국인에게 통행금지를 명령했다. 이틀 후, 중국의 잔혹 행위에 대한 소문이 퍼지자 다른 바타비아 민족은 베사르 강을 따라 중국 가옥을 불태웠고 네덜란드 군인들은 보복으로 중국 가옥에 대포를 발사했다. 폭력은 곧 바타비아 전역으로 퍼져 더 많은 중국인이 사망했다. 발케니어는 10월 11일 사면을 선언했지만, 비정규 조직은 총독이 적대 행위 중단을 더욱 강력하게 요구한 10월 22일까지 계속해서 중국인을 사냥하고 살해했다. 성벽 밖에서는 네덜란드군과 폭동을 일으키는 설탕 공장 노동자들 사이에 충돌이 계속되었다. 몇 주간의 소규모 전투 끝에 네덜란드군이 이끄는 군대는 지역 전역의 설탕 공장에 있는 중국의 요새를 공격했다.

이듬해 자와섬 전역의 중국인에 대한 공격은 중국인과 자와 군대가 네덜란드 군대와 맞붙는 2년간의 자와 전쟁을 촉발시켰다. 발케니어는 나중에 네덜란드로 소환되어 학살과 관련된 범죄로 기소되었다. 이 학살은 네덜란드 문헌에 많이 등장하며 자카르타의 여러 지역 이름에 대한 어원으로도 인용된다.

같이 보기

출처

Works cited
  • Armstrong, M. Jocelyn; Armstrong, R. Warwick; Mulliner, K. (2001). 《Chinese Populations in Contemporary Southeast Asian Societies: Identities, Interdependence, and International Influence》. Richmond: Curzon. ISBN 978-0-7007-1398-1. 
  • Blok, Petrus Johannes; Molhuysen, Philip Christiaan, 편집. (1927). 《Nieuw Nederlandsch Biografisch Woordenboek》 [New Dutch Biographical Dictionary] (네덜란드어) 7판. Leiden: A. W. Sijthoff. OCLC 309920700. 
  • Blussé, Leonard (1981). “Batavia, 1619–1740: The Rise and Fall of a Chinese Colonial Town”. 《Journal of Southeast Asian Studies》 (Singapo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1): 159–178. doi:10.1017/S0022463400005051. ISSN 0022-4634. S2CID 162575909. 
  • Bulbeck, David; Reid, Anthony; Tan, Lay Cheng; Wu, Yiqi (1998). 《Southeast Asian Exports since the 14th century : Cloves, Pepper, Coffee, and Sugar》. Leiden: KITLV Press. ISBN 978-981-3055-67-4. 
  • Dharmowijono, W. W. (2009). 《Van koelies, klontongs en kapiteins: het beeld van de Chinezen in Indisch-Nederlands literair proza 1880–1950》 [Of Coolies, Klontong, and Captains: The Image of the Chinese in Indonesian-Dutch Literature 1880–1950] (학위논문) (네덜란드어). Amsterdam: Universiteit van Amsterdaam. 2011년 12월 1일에 확인함. 
  • Dobbin, Christine (1996). 《Asian Entrepreneurial Minorities : Conjoint Communities in the Making of the World-Economy 1570–1940》. Richmond: Curzon. ISBN 978-0-7007-0404-0. 
  • van Eck, Rutger (1899). 《"Luctor et emergo", of, de Geschiedenis der Nederlanders in den Oost-Indischen Archipel》 ["Luctor et emergo", or, the History of the Dutch in the East Indies] (네덜란드어). Zwolle: Tjeenk Willink. OCLC 67507521. 
  • Geyl, P. (1962). 《Geschiedenis van de Nederlandse Stam》 [History of Dutch Masters] (네덜란드어) 4. Amsterdam: Wereldbibliotheek. ISBN 978-981-3055-67-4. OCLC 769104246. 
  • Hall, Daniel George Edward (1981). 《A history of South-East Asia》 4, illurat판. London: Macmillan. ISBN 978-0-333-24163-9. 
  • van Hoëvell, Wolter Robert (1840). “Batavia in 1740”. 《Tijdschrift voor Nederlands Indie》 (네덜란드어) (Batavia) 3 (1): 447–557. 
  • Kemasang, A. R. T. (1981). “Overseas Chinese in Java and Their Liquidation in 1740”. 《Southeast Asian Studies》 (Singapo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123–146. OCLC 681919230. 
  • Kemasang, A. R. T. (1982). “The 1740 Massacre of Chinese in Java: Curtain Raiser for the Dutch Plantation Economy”. 《Bulletin of Concerned Asian Scholars》 (Cambridge: Committee of Concerned Asian Scholars) 14: 61–71. doi:10.1080/14672715.1982.10412638. ISSN 0007-4810. 
  • Kumar, Ann (1997). 《Java and Modern Europe : Ambiguous Encounters》. Surrey: Curzon. ISBN 978-0-7007-0433-0. 
  • Paasman, A. N. (1999). “Een klein aardrijkje op zichzelf, de multiculturele samenleving en de etnische literatuur” [A Small Discussion of Multicultural Societies and Ethnic Literature]. 《Literatuur》 (네덜란드어) (Utrecht) 16: 324–334. 2011년 12월 4일에 확인함. 
  • Pan, Lynn (1994). 《Sons of the Yellow Emperor: A History of the Chinese Diaspora》. New York: Kodansha Globe. ISBN 978-1-56836-032-4. 
  • Mazumdar, Sucheta (1998). 《Sugar and Society in China : Peasants, Technology, and the World Marke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ISBN 978-0-674-85408-6. 
  • Ota, Atsushi (2006). 《Changes of Regime and Social Dynamics in West Java : Society, State, and the outer world of Banten, 1750–1830》. Leiden: Brill. ISBN 978-90-04-15091-1. 
  • Raat, Alexander (2010). 《The Life of Governor Joan Gideon Loten (1710–1789) : A Personal History of a Dutch Virtuoso》. Hilversum: Verloren. ISBN 978-90-8704-151-9. 
  • Raffles, Thomas Stamford (1830) [1817]. 《The History of Java》 2. London: Black. OCLC 312809187. 
  • Ricklefs, Merle Calvin (1983). “The crisis of 1740–1 in Java: the Javanese, Chinese, Madurese and Dutch, and the Fall of the Court of Kartasura”. 《Bijdragen tot de Taal-, Land- en Volkenkunde》 (The Hague) 139 (2/3): 268–290. doi:10.1163/22134379-90003445. ISSN 0006-2294.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8일에 확인함. 
  • Ricklefs, Merle Calvin (2001).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3판.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4479-9. 
  • Setiono, Benny G. (2008). 《Tionghoa dalam Pusaran Politik》 [Indonesia's Chinese Community under Political Turmoil] (인도네시아어). Jakarta: TransMedia Pustaka. ISBN 978-979-96887-4-3. 
  • Stellwagen, A. W. (1895). “Valckenier en Van Imhoff” [Valckenier and Van Imhoff]. 《Elsevier's Geïllustreerd Maandschrift》 (네덜란드어) (Amsterdam) 5 (1): 209–233. ISSN 1875-9645. OCLC 781596392. .
  • Tan, Mely G. (2005). 〈Ethnic Chinese in Indonesia〉. Ember, Melvin; Ember, Carol R.; Skoggard, Ian.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New York: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795–807쪽. ISBN 978-0-387-29904-4.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ame-list-style= (도움말)
  • Terpstra, H. (1939). M. G. De Boer, 편집. “Rev. of Th. Vermeulen, De Chinezenmoord van 1740”. 《Tijdschrift voor Geschiedenis》 (네덜란드어) (Groningen: P. Noordhoff): 245–247. 2011년 12월 2일에 확인함. 
  • Vanvugt, Ewald (1985). 《Wettig opium : 350 jaar Nederlandse opiumhandel in de Indische archipel》 [Legal Opium: 350 Years of Dutch Opium Trade in the Indonesian Archipelago] (네덜란드어). Haarlem: In de Knipscheer. ISBN 978-90-6265-197-9. 
  • von Wachtel, August (May 1911). “Development of the Sugar Industry”. 《The American Sugar Industry and Beet Sugar Gazette》 (Chicago: Beet Sugar Gazette Co) 13: 200–203. 
  • Ward, Katy (2009). 《Networks of Empire : Forced Migration in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8586-7. 
Online sources
  • 〈Gustaaf Willem, baron van Imhoff〉.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Encyclopædia Britannica. 2011. 2011년 10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1740년 바타비아 대학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